세계사 이야기

1643년 천재 뉴턴도 당했다. ! South Sea 주식 투자 실패

starshower1 2025. 3. 11. 12:38
728x90

아이작 뉴턴(Sir Isaac Newton)은 1643년 1월 4일 영국에서 태어난 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철학자로, 현대 과학의 기초를 다진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는 만유인력의 법칙과 세 가지 운동 법칙을 정립했으며, 미적분학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습니다.

주요 업적

  • 만유인력의 법칙: 모든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 힘은 두 물체의 질량과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원리입니다.
  • 운동의 법칙: 뉴턴은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세 가지 법칙을 제안했습니다. 이 법칙들은 고전역학의 기초가 되며, 물체의 운동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 미적분학: 뉴턴은 라이프니츠와 함께 미적분학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수학과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1. 천재 과학자, 투자 시장에 발을 들이다: 1643년도 태어난 아이작 뉴턴의 주식 투자 이야기

아이작 뉴턴,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했던 그가 주식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과학자의 투자 여정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아이작 뉴턴(1643-1727)은 만유인력의 법칙과 미적분학 발명으로 유명하지만, 그가 주식 투자자로서도 활동했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습니다. 과학의 천재였던 뉴턴도 투자의 세계에서는 감정에 휘둘렸던 평범한 인간이었습니다.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와의 운명적 만남

1643년에 태어난 아이작 뉴턴은 65세가 넘은 나이에 당시 영국에서 가장 뜨거웠던 투자 대상인 남해회사 주식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1720년, 뉴턴은 자신의 재산 약 7,000파운드를 남해회사 주식에 투자했습니다. 이 회사는 스페인 식민지와의 독점 무역권과 노예 거래권을 가졌다는 점을 앞세워 투자자들을 유혹했지만, 실제로는 거의 무역 활동이 없는 허울뿐인 기업이었습니다.

 

아이작뉴턴(1643.1.4 ~ 1726 / 1726 / 1727  3.20.)/ 출처 : 위키백과

천재 과학자의 투자 실패 사례

뉴턴의 투자 여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었습니다:

  1. 초기 성공: 뉴턴은 처음에 7,000파운드를 투자한 후 주가가 상승하자 약 20,000파운드의 수익을 얻고 매도했습니다.
  2. 욕심과 재투자: 주가가 계속 오르는 것을 보고 1720년 4월, 더 많은 돈을 투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3. 버블의 붕괴: 같은 해 9월, 남해회사 주식은 폭락하기 시작했고 뉴턴은 약 20,000파운드(현재 가치로 약 300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습니다.

투자 시장 데이터로 보는 남해회사 거품

![남해회사 주가 추이(1718-1721)](이미지 주소)

남해회사 주가 변동 (1718-1721년)

시기주가(파운드)주요 사건

1718년 1월 약 100 평범한 거래 시기
1720년 1월 약 128 거품 형성 시작
1720년 6월 약 950 주가 최고점 (뉴턴 재투자 시기)
1720년 9월 약 150 버블 붕괴 시작
1720년 12월 약 100 이하 붕괴 완료

이 실패 이후 뉴턴은 "나는 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지만, 인간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과학의 원리는 발견할 수 있었지만, 시장의 비이성적인 움직임은 예측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출처 : https://www.holcombefinancial.com/

남해회사의 유혹과 1643년 태어난 아이작 뉴턴의 주식 투자 초기 성공

18세기 초 런던의 금융가에는 귀족부터 평민까지 모두를 열광시킨 한 기업이 있었습니다. 바로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입니다. 1643년도에 태어난 아이작 뉴턴은 당시 77세의 노학자로, 영국 왕립조폐국장이라는 명예로운 직위에 있었음에도 이 투자 열풍에 동참했습니다.

남해회사의 화려한 약속

남해회사는 스페인 식민지와의 독점 무역권과 노예 거래권을 내세우며 엄청난 수익을 약속했습니다. 이 회사가 제시한 남미 대륙의 무한한 기회는 당시 영국 상류사회를 사로잡았고, 이성적 판단으로 유명했던 뉴턴마저 이 유혹에 빠져들었습니다.

"당시 남해회사 주식은 1주당 128파운드에서 시작해 1720년 8월에는 1,000파운드까지 치솟았습니다. 영국 GDP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로 성장했죠." – 경제사학자 찰스 매케이

뉴턴의 놀라운 초기 투자 성공

뉴턴은 1720년 초, 자신의 저축액 7,000파운드를 남해회사 주식에 투자했습니다. 이는 당시 그의 재산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금액이었습니다. 주가가 급등하자 뉴턴은 이성적 판단으로 적절한 시점에 매도했고, 놀랍게도 20,000파운드의 수익을 실현했습니다.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약 400만 달러에 해당하는 엄청난 수익이었죠.

[Collection] 뉴턴 당시 남해회사 주가 변동

시기 (1720년)주가(파운드)뉴턴의 행동

1월 128 최초 7,000파운드 투자
4월 550 20,000파운드 수익 실현 후 매도
6월 720 주가 상승 계속 관망
8월 1,000 고점에서 재투자 결정
9월 150 버블 붕괴 시작

뉴턴의 이 초기 성공은 그의 과학적 통찰력이 금융 시장에서도 빛을 발한 듯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 성공이 그에게 안겨준 자신감이 결국 더 큰 패배로 이어질 줄은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주식 시장의 파동은 물리학의 법칙처럼 예측 가능할까요? 아니면 뉴턴이 나중에 한탄했듯 "인간의 광기"는 정말 계산할 수 없는 것일까요?

남해회사의 화려한 수익률과 주변의 성공 사례들은 결국 뉴턴을 다시 시장으로 이끌었고, 이는 그의 생애 최대 재정적 실수가 되었습니다.

 

3. 광기의 정점에서 재투자한 아이작 뉴턴의 주식 투자 실패

뉴턴은 왜 다시 고점에서 남해회사 주식에 재투자했을까요? 그리고 그 결말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버블 붕괴의 순간으로 들어가 봅시다.

천재도 피해갈 수 없었던 투자 심리의 함정

1643년도 태어난 아이작 뉴턴은 과학적 업적 외에도 흥미로운 투자 이야기를 남겼습니다. 초기에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 주식으로 상당한 수익을 올린 뉴턴은 7,000파운드 투자로 20,000파운드라는 엄청난 수익을 실현하고 시장에서 빠져나왔습니다. 하지만 주가가 계속해서 치솟는 모습을 지켜보던 뉴턴은 결국 욕심을 이기지 못했습니다.

"주변의 모두가 부자가 되는 모습을 보며, 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었다."

1720년 4월, 뉴턴은 주가가 거의 정점에 이른 시점에 대규모로 재투자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몇 개월 후인 9월, 남해회사 버블이 붕괴되면서 그의 투자금 대부분(약 20,000파운드, 현재 가치로 약 300만 달러)이 증발해버렸습니다.

버블 붕괴의 실제 데이터

[Collection] 1720년 남해회사 주가 변동과 뉴턴의 투자 타이밍

시기남해회사 주가뉴턴의 행동

1720년 1월 128파운드 초기 투자(7,000파운드)
1720년 2-3월 330파운드 수익 실현 후 매도(+20,000파운드)
1720년 4월 550파운드 고점 근처에서 재투자
1720년 6월 1,050파운드 (버블 정점)
1720년 9월 150파운드 버블 붕괴(-20,000파운드 손실)
1720년 12월 120파운드 투자 포기

이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뉴턴은 초기에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렸으나,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 것을 보며 FOMO(Fear Of Missing Out, 기회를 놓칠까 하는 두려움)에 사로잡혔습니다. 결국 광기의 정점에서 재투자함으로써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되었습니다.

천재 과학자의 투자 실패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중력의 법칙을 발견한 위대한 과학자도 투자 시장의 비이성적 광기 앞에서는 감정적 결정을 내렸습니다. 뉴턴의 사례는 현대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1. 시장 심리에 휘둘리지 말 것
  2. 초기 투자 계획을 고수할 것
  3. 단기적 가격 변동보다 장기적 가치에 집중할 것

4. 남해회사 버블: 허상과 현실의 충돌, 1643년도 태어난 아이작 뉴턴의 투자 실패

실제 수익 없이 과장된 홍보로 끌어모은 투자자들. 남해회사 버블은 어떻게 형성되고 무너졌을까요? 그리고 그 여파는?

![남해회사 주식 폭락 그래프](이미지 주소)

18세기 최대 금융 사기: 남해회사의 탄생과 몰락

1711년 설립된 영국의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는 스페인 식민지와의 독점 무역권을 약속받은 회사였습니다. 특히 노예무역 독점권이라는 황금 먹거리를 내세워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죠. 하지만 실상은 달랐습니다. 회사는 실질적인 무역 활동 없이 주가만 부풀려져 있었습니다.

 

1643년 태어난 천재 과학자 아이작 뉴턴 역시 이 거품 경제의 희생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1720년 초 남해회사 주식에 7,000파운드를 투자했다가 잠시 20,000파운드의 수익을 올리며 성공적으로 매도했습니다. 그러나 계속 오르는 주가를 보며 욕심을 내 다시 대규모로 재투자했고, 결국 버블이 꺼지며 막대한 손실을 입었습니다.

남해회사 버블의 형성과 붕괴 과정

[Collection] 남해회사 버블 주요 데이터

시기사건주가 변동

1711년 남해회사 설립 100파운드
1719년 12월 정부 채무 인수 발표 128파운드
1720년 1월 주식 청약 시작 350파운드
1720년 6월 버블 정점 1,050파운드
1720년 9월 버블 붕괴 시작 150파운드
1720년 12월 거래 중단 100파운드 이하

남해회사는 영국 정부의 거대한 전쟁 부채를 인수하는 대가로 특권을 얻었습니다. 회사의 주도자들은 거짓 홍보와 뇌물로 정치인들을 매수하고, '국부 창출'이라는 환상을 팔았습니다. 실제로 회사는 단 한 척의 무역선도 운영하지 않았지만, 주가는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무려 10배 이상 폭등했습니다.

뉴턴은 초기에 투자했다가 약 3배의 수익을 보고 매도했지만, 계속 치솟는 주가를 보며 결국 고점에서 재투자했습니다. 그러나 1720년 9월, 주가가 급락하기 시작했고 그는 오늘날 가치로 약 300만 달러에 해당하는 20,000파운드를 잃었습니다.

천재도 예측하지 못한 투기 심리

아이작 뉴턴이 남긴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나는 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지만, 인간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물리학의 법칙을 발견하고 미적분학을 창시한 천재 과학자도 시장의 비이성적 광기 앞에서는 무력했습니다. 1643년에 태어난 뉴턴이 보여준 이 투자 실패는 오늘날까지도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남깁니다.

버블 붕괴의 여파

남해회사 버블의 붕괴는 단순한 주가 하락이 아닌 사회적 재앙으로 이어졌습니다. 당시 영국 사회 전체가 투기에 참여했기 때문에 그 충격은 매우 컸습니다.

  • 수천 명의 투자자들이 전 재산을 잃고 파산
  • 영국 경제 수년간 심각한 침체 경험
  • 금융 규제의 필요성 인식 확산
  • '버블법(Bubble Act)' 제정으로 주식회사 설립 제한

이 사건은 오늘날까지도 투기적 열풍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고전적 사례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5. 뉴턴의 교훈: 1643년 태어난 아이작 뉴턴은 어떤 주식에 투자하다 인간의 광기를 깨달았나?

뉴턴은 _"인간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_고 말했습니다. 그의 실패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현대 투자자들에게 주는 메시지를 탐구합니다.

천재 과학자의 치명적 투자 실패

1643년 태어난 아이작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과 미적분학을 발견한 위대한 과학자였지만, 투자 시장에서는 평범한 인간의 한계를 보여주었습니다. 1720년 영국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 주식에 투자했던 뉴턴의 사례는 오늘날 투자자들에게도 귀중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뉴턴은 처음에 7,000파운드를 투자해 약 20,000파운드의 수익을 올리며 성공적으로 매도했습니다. 하지만 주가가 계속 상승하자 욕심을 이기지 못하고 고점에서 재투자했고, 결국 버블이 붕괴되며 현재 가치로 약 300만 달러에 해당하는 막대한 손실을 입었습니다.

남해회사 버블의 실체와 현대 시장에 주는 메시지

당시 남해회사는 스페인 식민지와의 독점 무역권을 가졌다고 홍보했지만, 실제로는 의미 있는 사업 활동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주가는 비이성적으로 치솟았고, 영국 전역의 투자자들이 이 버블에 열광했습니다.

[Collection] 역사적 투자 버블과 현대 시장의 유사점

투자 버블시기특징결과

남해회사 1720년 실적과 무관한 투자 열풍 영국 금융 위기
튤립 버블 1637년 단일 상품에 대한 극단적 투기 네덜란드 경제 침체
닷컴 버블 1995-2000년 인터넷 기업 과대평가 NASDAQ 78% 폭락
서브프라임 위기 2007-2008년 부동산 담보 증권화 글로벌 금융 위기
암호화폐 2017-2018년 검증되지 않은 기술에 대한 투기 비트코인 가격 85% 하락

뉴턴의 실패에서 배우는 현대 투자자의 교훈

  1. 군중심리 경계하기: 뉴턴조차 주변의 열광에 휩쓸려 판단력을 잃었습니다. 현대 투자자들도 FOMO(Fear Of Missing Out, 기회를 놓칠까 두려움)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첫 판단 신뢰하기: 뉴턴은 초기에 정확한 판단으로 이익을 얻었지만, 계속되는 상승장에 현혹되어 원칙을 저버렸습니다.
  3. 감정 통제의 중요성: 시장의 비합리성은 인간의 감정에서 비롯됩니다. 논리적인 투자 계획과 감정 통제가 필수적입니다.
  1. 분산 투자 전략: 뉴턴은 단일 회사에 과도하게 집중 투자했습니다. 현대 투자 이론은 위험 분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뉴턴이 남긴 말처럼, 시장의, 더 정확히는 '인간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 광기를 인정하고 자신의 투자 원칙을 지키는 것이 현명한 투자자의 자세일 것입니다. 1643년에 태어난 아이작 뉴턴의 투자 실패는 3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교훈을 전합니다.

 

출처:

  1. Ferguson, N. (2008). The Ascent of Money: A Financial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Books.
  2. Mackay, C. (1841).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Crowds.
  3. Dale, R. (2004). The First Crash: Lessons from the South Sea Bubb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Odlyzko, A. (2010). Newton's financial misadventures in the South Sea Bubble. Notes and Records of the Royal Society.
  1. Dale, R. (2004). The First Crash: Lessons from the South Sea Bubb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O'Shaughnessy, P. (2016). What Works on Wall Street: The Classic Guide to the Best-Performing Investment Strategies of All Time. McGraw-Hill Education.
  3. Mackay, C. (1841).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Crowds.
  1. Charles Mackay,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Crowds" (1841)
  2. Andrew Odlyzko, "Newton's Financial Misadventures in the South Sea Bubble" (2018)
  3. Richard Dale, "The First Crash: Lessons from the South Sea Bubble" (2004)
  4. Jason Zweig, "What Isaac Newton Can Teach Investors" (The Wall Street Journal, 2020)
  1. Dale, R. (2004). The First Crash: Lessons from the South Sea Bubb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Mackay, C. (1841).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Crowds.
  3. Garber, P. M. (1990). Famous First Bubble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4(2), 35-54.
  4. Chancellor, E. (1999). Devil Take the Hindmost: A History of Financial Speculation.
  • Odlyzko, A. (2018). Isaac Newton and the South Sea Bubbl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 Dale, R. (2004). The First Crash: Lessons from the South Sea Bubble.
  • Mackay, C. (1841). Extraordinary Popular Delusions and the Madness of Crowds.